데이터분석

GA4 | 이벤트분석 | GA4 와 GTM은 어떻게 연동하는 걸까?

MinSiljang 2022. 5. 11. 10:33

 

구글태그매니저(GTM), 누구니?

GA4를 공부하다 보니 '구글태그매니저' 라는 단어가 곳곳에서 보이더라구요. 세팅하는 곳에서도 구글태그매니저를 사용할 것인지 묻기도 하고, 이벤트 세팅을 위해 구글태그매니저를 연동한다고 설명이 되어있기도 하구요. 그래서 오늘은 '구글태그매니저' 라는 아이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GA4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이벤트' 였어요. 

기본적인 트래픽 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 분석도 가능하지만, 우리가 특별히 보고 싶은 사용자의 활동을 이벤트로 지정해 두고 해당 이벤트들을 분석하는 것으로 더 좋은 마케팅 전략, 플랫폼의 UIUX 개선, 컨텐츠 업로드 등 진행하여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답니다. 

 

GA4에서 자동으로 측정되는 이벤트는 6가지가 있습니다. 

페이지조회 , 스크롤(90%) , 이탈클릭 , 사이트검색 , 동영상클릭 , 파일다운로드 입니다. 

우리가 세팅하면서 슉~ 하고 넘어왔지만, 그게 아주 중요한 정보였더라구요. ( GA4 처음 셋팅할 때 무슨 의미인지 정확히 몰랐던 1인😅 ) 

이렇게 GA4 에서 자동으로 측정되는 이벤트 외에 분석하고 싶은 이벤트를 추가로 심어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방법은 크게 두 가지! 

 

1. 직접 스크립트 코딩을 통해 이벤트 수집 

2. 구글태그매니저(GTM)을 활용한 이벤트 수집  

 

아무래도 개발적인 지식이 없거나, 개발자와 아주 가깝게 일하고 있지 않으면 첫번째 방법으로 이벤트 수집을 진행하기엔 쉽지 않을 것 같아요. GTM 을 활용해서도 충분히 원하는 이벤트를 세팅하고 GA로 분석값을 넘겨줄 수 있습니다. 

 

그럼 먼저 GTM 을 세팅하고 GA4 연동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할게요. 

 

 

 

GTM 세팅하기

구글태그관리자 검색 → 구글태그관리자를 가입(세팅)합니다. 

가입하고 나면 웹서비스에 삽입할 수 있는 스크립트가 나옵니다. 해당 스크립트를 복사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웹서비스의 <head> , <body> 영역에 붙여넣으시면 됩니다!

 

 

 

💭 구글애널리틱스와 구글태그매니저 둘다 사용해야 하나요?

처음에 구글애널리틱스와 구글태그매니저를 둘 다 사용하는 경우 어떤 스크립트를 심어야 하는지, 둘 다 심어야 하는지 궁금했어요. 정답은, 태그매니저를 사용하실 경우 애널리틱스 스크립드는 삭제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둘다 심는 경우 중복카운팅이 되는 구조에요. 저도 처음에는 구글애널리틱스 GA4 스크립트만 사용하다가 태그매니저가 익숙해진 후에는 GTM 스크립트만 삽입하여 사용하고 있어요. 

 

 

 

GTM 과 GA4 연동하기 

태그 → 새로만들기 

 

 

태그유형 : ' Google 애널리틱스 : GA4 구성 '

측정 ID : 구글애널리틱스의 ID를 복사붙여넣기 해주세요! (아래 이미지 참고) 

트리거 : All Pages (페이지뷰) 로 설정해 줍니다. 

 

트리거는 어떤 행동, 액션, 이벤트가 일어났을 때 내가 지정한 활동을 하라! 는 장치라고 보면 좋을 것 같아요.

트리거를 All Pages 라고 해주면 모든 페이지를 보았을 때 측정되는 것이니 가장 기본적인 활동에 대해 연결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답니다. 

 

 

 

*참고 : 측정ID는 어디서? 구글애널리틱스 → 관리자 → 데이터스트림 → 웹스트림 세부정보 → 측정ID 복사

GA4 측정ID 복사

 


 

하루정도 지나면 구글애널리틱스 보고서를 통해 데이터가 집계된 현황을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 

( 위 보고서는 GA4의 가징 기본적인 보고서 개요이며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해요! )

 


 

이렇게 기본적으로 구글애널리틱스4 (GA4)와 구글태그관리자(GTM) 을 연동하여 이벤트 측정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는 조금 더 구체적인 이벤트 설계부터 세팅까지 진행해 볼게요! 

 

** heyz의 GA4 파헤치기